본문 바로가기
전통, 관습, 미신

처서 매직, 올해는 8월 22일입니다. (처서 뜻과 관련 속담)

by 지의목 2024. 8. 22.
반응형

 

 

언젠가부터 사람들 사이에서 '처서 매직' 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입추와 말복을 지나서까지 기승을 부리던 더위가, 처서를 지나면서부터는 아침, 저녁으로 찬기운이 느껴지는게 마치 마법을 부리는 것 같아서인데요, 처서가 대체 뭐길래 이럴까요?

 

 

 

처서(處暑): 여름의 끝, 가을의 시작

처서(處暑)24절기 중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위치합니다.

태양이 황경 150도에 달하는 시점으로, 음력 715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처서'라는 명칭은 더위가 그친다는 뜻으로, 여름이 물러가고 가을이 다가옴을 의미합니다.

 

 

 

처서의 자연의 변화

처서는 여름의 끝자락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시기로, 자연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때입니다.

이 시기가 되면 대기 중의 열기가 한층 누그러지며, 신선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합니다. 아침저녁으로는 서늘한 기운이 감돌아 가을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끼게 됩니다.

이 시기에 땅에서는 귀뚜라미와 같은 가을을 알리는 곤충들의 울음소리가 들리고, 하늘에는 맑고 높은 뭉게구름이 떠올라 가을의 시작을 알립니다.

이런 자연의 변화는 사람들에게도 가을이 왔다는 것을 실감하게 해줍니다.

특히, 농촌에서는 이 시기에 들판의 곡식이 여물어가는 모습을 통해 가을의 풍요로움을 기대하게 됩니다.

고려시대의 기록인 고려사에서는 처서 기간을 5일씩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초후(初侯)에는 매가 새를 사냥해 제사를 지내고, 차후(次侯)에는 천지에 가을 기운이 돌며, 말후(末侯)에는 곡식이 익어가는 등, 자연의 미묘한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기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은 처서가 단순한 계절의 변화가 아닌,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시점임을 나타냅니다.

 

 

 

 

민속적 의미와 속담

처서와 관련된 속담과 풍속도 이 시기의 자연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속담은 처서가 되면 더위가 사그라지면서, 여름철 내내 극성을 부리던 모기조차 활동이 둔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처서가 여름의 끝자락이자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점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처서 무렵에는 더 이상 풀이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의 풀을 베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 시기에 풀이 자라지 않는 것은 햇볕이 누그러지고, 가을의 서늘한 기운이 찾아왔다는 자연의 변화를 반영한 것입니다.

농사에 있어서도 처서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처서가 지나면 벼가 이삭을 패는 시기이기 때문에, 햇살이 강해야 곡식이 잘 익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처서에 장벼 패듯"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벼가 이삭을 패듯이 무언가가 한꺼번에 무성하게 자라는 모습을 비유한 표현입니다. 이처럼 처서는 농사와 밀접하게 연관된 시기입니다.

 

 

 

 

처서비(處暑雨)의 의미

처서비(處暑雨)처서 무렵에 내리는 비를 의미하며, 농부들에게는 우려의 대상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을이 시작되는 처서 무렵에는 햇살이 강해야 곡식이 잘 여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처서비가 내리면 벼를 비롯한 농작물이 제대로 여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속담에서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감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처서에 비가 내리면 그만큼 농작물이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처서비는 벼의 이삭에 빗물이 스며들어 병충해가 발생하거나 벼가 썩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농부들에게는 매우 불리한 날씨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처서비는 농사에 악영향을 끼치는 비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날 비가 내리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강했습니다.

경남 통영에서는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감하고,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백석을 감한다"라는 말이 전해지며, 이는 지역 농업에서 처서비의 영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처서 무렵의 비는 농작물의 수확에 직결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날씨는 한 해 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지역별 풍습과 관념

처서에 대한 인식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농사에 중요한 시점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북 부안과 청산에서는 처서에 비가 오면 대추가 제대로 여물지 않아 결혼을 앞둔 큰 애기들이 울며 간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합니다. 이는 처서가 농사에 얼마나 중요한 시기인지, 그리고 지역 사회에서 이 시기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반응형